Tableau(태블로)는 기초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처음 사용법을 배울 때는 너무 쉬워 보여서 따로 정리를 해 놓지 않게 됩니다. 그러나 중급으로 가는 과정에서 기초 사용법에서 배웠던 내용이 기억에서 가물가물 해 지면서 중급으로 가는 길을 막게 됩니다. 그래서 저도 미리 대비하려고 이렇게 시간을 내어 이렇게 기초 사용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.
주요 내용
바 차트 (Bar chart)
라인 차트, 영역 차트 (Line chart + Area chart)
파이 차트 (Pie chart)
스캐터 플롯 (Scatter plot)
박스 플롯 (Box plot)
히스토그램 (Histogram)
하이라이트 테이블 (Highlight table), 히트맵 (Heat map)
오늘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바 차트를 정리하겠습니다.
1. 바 차트
바 차트 그리는 방법
합계(Sales)
몇가지 질문들
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 차트를 태블로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
첫 번째는 왼쪽 사이드바의 차원이나 측정값을 더블 클릭을 하는 방법.
두 번째는 왼쪽 사이드바의 차원이나 측정값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원하는 곳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방법.
사용을 하다보면 대부분 간편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 필요에 따라 둘 다 사용하게 됩니다. 태블로 사용법을 배우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구글에서 태블로를 검색한 후 태블로 사이트에서 무료 버전 14일 평가판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입니다. 무료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끝내 셨다면 다음은 차트 그리는 연습을 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필요합니다.
다른 데서 샘플을 찾지 마시고, 태블로를 실행하여 첫 화면을 보면 아래와 같이 연결 메뉴에서 맨 아래 저장된 데이터 원본에서 '슈퍼스토어-샘플'을 클릭하면 연습용 데이터가 불러와질 것입니다.
태블로-데이터불러오기
바 차트를 그리기 전에 먼저 태블로 화면의 구성은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더 점검해 보겠습니다. 아래 링크를 타고 휘리릭 갔다가 오겠습니다.
그러면 사이드바에 차원과 측정값이 보일 것이고 뷰(View)에는 아무것도 없을 겁니다. 이제 바 차트를 그릴 수 있는 사용법을 정리합니다. 위에서 정리한 첫 번째 방법인 더블클릭 방식입니다. 사이드바에 있는 측정값 중 '매출'을 더블클릭합니다. 그러면 태블로가 알아서 가장 기본적인 바 차트로 '매출'을 '집계'해서 '합계(매출)'이라는 '초록 알약'을 생성하면서 바 차트가 그려집니다.
태블로-바차트 1
두 번째 방법인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 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겠습니다. 동일하게 사이드바에서 즉정값 매출을 마우스 왼쪽 클릭하여 행에 드래그 앤 드롭해 줍니다. 그러면 위와 같은 결과물이 그려집니다.
[여기서 잠깐! 태블로의 기본 철학]
사이드바의 측정값을 뷰(View)로 가져 올 때는 항상 집계된 값(합계, 평균, 최솟값, 최댓값...)으로 표현해 줍니다. 이유는 시스템이 그렇게 처음부터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.
따라서 위의 바 차트 결과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총매출 값을 '집계'해서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. 이제 태블로에서 데이터를 시각화 하는 방식은 어떤 방식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. 비유를 하자면 커다란 한 덩이 빵을 가져다가 내가 잘라 보고 싶은 모양과 크기대로 잘라 보는 방식이 태블로의 데이터 시각화 방식입니다.
태블로-바차트 2
예를 들면 위와 같이 현재 태블로의 왼쪽 사이드바에서 측정값 '주문 날짜'를 마크 카드의 색상에 드래그 앤 드롭을 해 봅니다. 그러면 한 덩어리의 매출이 각 연도별 매출의 크기로 4등분이 되었고, 동시에 연도는 색상별로 쪼개졌습니다. 신기하죠?
태블로 바차트 3
이번에는 '주문 날짜'를 드래그해서 밖으로 던져 버리고, 왼쪽 사이드바에서 '지역'이라는 차원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열(X축)에 드래그 앤 드롭해 봅니다. 그러면 한 덩어리의 매출이 이번에는 지역별 크기로 4등분이 되어 동남아시아, 북아시아, 오세아니아, 중앙아시아 각각의 지역 매출로 쪼개졌습니다.
위의 바 차트는 '지역'을 버리고, 왼쪽 사이드바에서 '배송 형태'를 열(X축)에 드래그 앤 드롭을 한 결과입니다. 한 덩어리의 매출이 이제는 '배송 형태'별로 매출이 쪼개져서 보입니다.
위의 바 차트는 '배송 형태'를 빼 내고, '제품 이름'을 열(X축)에 드래그 앤 드롭했습니다. 그러면 각 제품별 매출로 쪼개져서 보이게 됩니다. 제품명이 많으니 바 차트의 가로-세로를 교차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.
툴바에서 '행과 열 바꾸기'를 클릭해 준 다음 '내림차순' 정렬을 해 보면 위와 같이 '제품 이름'별 매출을 볼 수 있도록 스크롤을 생성해 주면서 바 차트를 그려 줍니다.
이 밖의 태블로 사용법 외에도 '고객 이름', '제품 중분류' 등으로 넣고 빼고 하다보면 집계된 합계 값이 어떻게 쪼개져 보이는지 태블로의 기본 철학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