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와 같이 '계산된 필드 만들기'를 선택하여 '수익률'이라 입력하고, SUM( [수익] ) / SUM( [매출] ) 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해 줍니다.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할인율이 높다면 판매수량은 올라가겠지만 개당 수익률은 떨어질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. 즉 할인율과 수익률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습니다. 이것을 데이터 시각화 처리했을 때는 어떻게 보일지 살펴보겠습니다.
할인율 합계를 평균으로 변경
할인율과 수익률을 열과 행에 드래그 앤 드롭 합니다. 그러면 행(Y축)을 보면 할인율이 1600까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이것은 기본적으로 측정값의 필드는 '합계'값으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평균 할인율로 바꿔 주기 위해서 위의 가운데 그림처럼 '측정값(합계)'를 '평균'으로 바꿉니다. 그러면 평균 할인율로 행(Y축)의 수치가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제 우리는 제품별로 할인율을 점점 높일수록 내 수익율은 어떻게 변해가는지 보려고 합니다. 먼저 할인율과 수익률의 행과 열을 전환시킨 후 제품명을 마크 카드의 세부 정보로 드래그 앤 드롭해 봅니다.
추세선
추세선 추가
그리고 위 왼쪽 그림처럼 분석탭을 선택하고 추세선을 클릭하여 View 화면으로 드래그를 하면 추세선이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. 선형, 로그, 지수, 다항식, 거듭제곱이 있는데 이것들 중 저는 다항식 추세선을 선택해 보았습니다.
할인율과 수익율 차트에 추세선 추가
마우스 포인트로 다항식 추세선을 따라가다 보면 수익률이 0% 이상되는 할인율과 수익률이 0% 이하로 전환되는 할인율, 즉 임계점 할인율을 찾아 낼 수 있습니다. 추가적으로 어떤 할인율을 기점으로 수익률이 급격하게 떨어지는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.